개발자 (32) 썸네일형 리스트형 NodeJS(1) File System (fs) module In order to read and write files, you need to use fs modules. Let's look at the example right away to see how fs module works. Ex. So in line 1, you first enable readFileSync, writeFileSync by requiring the fs module. Then, I made two text files to use the readFileSync function -> and simply put the path of the file I want to read in the first parameter and the character encoding type in the sec.. NodeJS (0) What is NodeJS? NodeJS is simply a Javascript runtime environment where it allows people to use Javascript out of a web browser. Now, it's a popular tool for building server-side applications, web servers, etc. Javascript (3) Splice Splice는 배열 안에 있는 element를 지우거나 추가할 수 있다 splice() 함수는 배열이름. splice(시작점 index, 몇 번째 index까지 지우기, 추가할 정보) 이렇게 되어있다 이제 예시를 보자 예) fruits array에 과일 이름을 넣고 splice를 통해 첫 번째 index에서 1번째 index까지 지우도록 설정했다 코드를 실행시킨 뒤 console을 확인해 봤더니 watermelon이 지워진 걸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strawberry와 mango 사이에 banana를 넣고 싶다고 가정하고 코드를 짜보자 예) line 4를 보면 2번째 인덱스에 아무것도 지우지 말고 "banana"를 추가하라고 설정을 해주고 실행시킨 뒤 console을 보면 잘 출력된 걸 확인할 수 있다 Typescript (6) Enums Enum은 개발자 도구라고 보면 된다 문자나 숫자를 enum으로 씀으로써 오타를 방지해 준다 그럼 바로 예시를 보자 예) 이렇게 string들을 enum 안에 담에 사용하였다 그러면 console을 봐보자 console에 enum안에 넣어둔 string 값들을 출력하는 줄 알았는데 0 1 2 가 출력됐다 이유는 바로 enum안에 있는 정보들의 값을 숫자로 매기기 때문이다 좋은 점은 이 정보들의 값도 따로 설정을 해줄 수 있는데 한번 해보도록 하자 예) 이렇게 enum의 값을 바꾸려면 정보 = 정보값 을 해주면 된다 이후 다시 실행시킨 뒤 console을 보면 정보값에 따라 잘 나오는 걸 볼 수 있다 ReactJS (14) Recoil - Selector Recoil에서 selector은 atom을 갖고 와 작업하는데 쓰인다 그럼 바로 예시를 보자 예) 우선 Fruit atom을 만들어주고 default = 과일 이름들을 넣은 array이다 이후 selector은 key (고유식별자) 및 get을 통해 이미 만들어놓은 atom을 갖고 올 수 있다 예시와 같이 selector 안에서 fruits = get(Fruit)를 통해 Fruit atom을 갖고 왔다 여기서 get은 atom을 갖고 와 변형만 시켜준다 따라서 atom의 값은 변하지 않는다 이후 filter을 통해 Fruit atom을 변형시킨 걸 볼 수 있다 그다음에 useRecoilvalue()를 통해 selector을 불러왔다 이제 console을 확인해 보자 이렇게 배열이 나온 걸 볼 수 있다 .. Javascript (2) Filter Filter은 array를 특정 옵션에 따라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낸다 바로 예시를 보자 예) fruits 배열을 만들고 newFruits에 fruits.filter()을 써서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냈다 fruits.filter()에서 fruit는 배열 안에 있는 각 element을 말하는 거다 (grape, watermelon, 등등) 따라서 fruit, 즉 element = apple을 새로운 배열로 만들라는 뜻이다 Javascript(1) Slice Array를 잘라낼 때 slice를 사용한다 예) slice(index 시작점, index 도착점) console 에는 grape가 찍히는 걸 볼 수 있다 그럼 조금 더 심화로 들어가서 fruits 배열 안에 있는 apple을 pineapple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되는지 알아보자 예) 우선 apple의 index를 targetIndex로 지정해 줬다 이후 firstPart = slice를 이용해 index 0부터 apple index 전까지 만들어주고 lastPart = targetIndex+1, 즉 targetIndex 다음에 오는 elements들을 넣어준다 참고로... firstPart와 같이 배열 앞에... 를 붙여주면 배열 안에 있는 elements들을 풀어준다 즉 [... firstPart.. ReactJS(13) useForm ReactJS에서 form 작업을 할 때 useForm hook을 사용하면 작업이 엄청 간편해진다 npm i react-hook-form 우선 다운을 하고 바로 예시를 보자 예) register(input 이름)은 input에 적용시켜서 다양한 event들을 받을 수 있고 (onChange, onBlur) 다른 작업들을 할 수 있다 예) useForm에서 handleSubmit은 input을 submit 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정보들을 보여준다 예시와 같이 onSubmit 함수를 만들어 handleSubmit을 form onSubmit props에 적용시킨 뒤 data를 console로 확인했더니 input 이름과 submit 한 정보를 볼 수 있다 이것뿐만 아니라 input에 더 많은 옵션들을 추가할 .. 이전 1 2 3 4 다음